- 세 줄 요약
1. 가성비 최강
2. 소프트웨어 안정성, L1등급 유지 위해 자동 업데이트 꺼두기
3. 국가 설정은 SetEdit 통해서 한국으로 바꾸고 Gboard 깔아서 한글 키보드 사용하기
- 목차
소개
A. 초기 언어 설정
B. 시스템 자동 업데이트 막기
C. 지역 변경하기 - 불편한 adb, USB 연결 없이
D. 키보드 설정
E. 기타 설정
참고 사이트
레노버 Xiaoxinpad pro 2021은 TB-J716F라는 이름으로 중국 내수버전만 출시되고 글로벌 버전이 출시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중국을 제외한 레노버 공식 사이트와 앱에서도 제품 검색이 되지 않고 글로벌 롬도 현재까지는 존재하지 않아서 중국 내수용 운영체제 ZUI를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30만원대에 OLED 패널, 90Hz 주사율, 스냅드래곤 870 칩셋, 6GB램을 탑재하고 펜을 통한 필기까지 가능하다는 점은 해외 구매와 귀찮은 초기 세팅을 감수할 만큼 충분히 매력적입니다.
만약 이 정도의 프로세서와 패널을 갖추고 필기 기능을 탑재한 태블릿을 제한된 예산 안에서 애플과 삼성에서 구매한다면 애플에서는 최소 아이패드 9세대, 삼성에서는 갤럭시 탭 S6 Lite 이상의 라인업을 살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기기값만 40~50만원에서 시작합니다. 거기에 필기용 펜, 케이스 등을 알아보면 10~30만원이 더 필요합니다.
마침 가벼운 필기 목적으로 태블릿을 알아보던 중 가격대비 성능이 뛰어난 Xiaoxinpad pro 2021을 Qoo10에서 35만원 가량에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전원을 켜면 레노버 로고가 나오고 중국어가 나옵니다. 당황하지 말고 영어로 바꾸어 줍니다.
- A. 초기 언어 설정
이후 인터넷만 연결해 주시고 나머지 내용들 모두 skip으로 넘겨주시고 바로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중간에 사용자 경험 정보 수집은 동의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동의하면 괜한 정보만 넘기는 것 같아 전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실수로 언어가 중국어로 설정되었다면 구글 번역기로 이미지 번역을 해서 General settings 혹은 일반 설정을 찾거나 배터리 모양 항목 아래의 톱니바퀴 항목에서 맨 위 항목을 눌러 언어를 영어로 바꾸어 줍니다.
- B. 시스템 자동 업데이트 막기
My Phone 항목의 System Update에 들어간 후
오른쪽 위 점 세개를 눌러 Update Settings에 들어갑니다.
두 항목 모두 비활성화 해주시면 시스템 펌웨어 업데이트는 자동으로 이뤄지지 않게 됩니다.
이후 설명은 모두 ZUI 12버전에서 진행하는 점 알려드립니다.
- C. 지역 변경하기
일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와 달리 Google Play가 없어서 중국 스토어에서 Google Play를 찾아서 깔아야 합니다. 그리고 Google Play 서비스까지 깔아주면 Google Play로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Google Play를 깔았다면 SetEdit을 찾아서 깔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여러 항목 중 "system_locales" 항목의 내용을 "en-US"에서 ko-KR로 바꾸어줍니다.
만약 system_locales를 찾을 수 없다면 설정에 languages에 가서 모든 언어를 클릭해주고 다시 들어가보면 됩니다.
이후 태블릿을 재부팅을 하면 국가 변경은 완료됩니다.
국가 변경이 되면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한글화가 됩니다.
- D. 키보드 설정
Google Play에서 Gboard를 설치합니다.
Gboard를 실행해서 한국어 키보드를 추가해 줍니다.
General settings에서 Languages & input 항목에 들어갑니다.
Current Keyboard와 Virtual keyboard 모두 Gboard로 바꾸어 줍니다.
입력값을 모두 가져갈 수 있다는 경고가 뜨지만 그건 모든 키보드 프로그램에 해당되는 사항이니 무시해도 좋습니다.
- E. 기타 설정
크롬 설치
웹브라우저 크롬의 경우 Google Play에서 Android 시스텝 Webview를 설치, 업데이트 해주어야 설치 가능합니다.
선탑재 중국어 앱
삭제 가능한 선탑재 앱은 모두 삭제해도 무방합니다.
시간 설정
시간 설정은 General settings에서 time zone을 한국으로 선택하고 network-provided time을 사용하면 한국 표준시가 적용됩니다.
DRM 확인
DRM 확인은 DRM info 앱을 깔아서 확인합니다.
노크온 설정
노크온은 Display & brightness에서 More display settings, Double tap to power on screen을 활성화하면 됩니다.
앱 알림이 오지 않는다면 App management에서 Notification을 허용해야 합니다.
참고 사이트
https://www.youtube.com/watch?v=0L_67dqrhBg&list=LL&index=74&t=892s - 테크노사우르스 채널
https://m.cafe.naver.com/ca-fe/web/cafes/27738104/articles/527305 - 샤오미스토리 네이버 카페 게시글
https://m.cafe.naver.com/ca-fe/web/cafes/25376782/articles/102607 - 타오투코리아 네이버 카페 게시글
'소비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로 유튜브 광고 없이 보기 (0) | 2022.02.02 |
---|